미세먼지가 심해지면 공기정화식물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공기를 깨끗하게 해준다고? 이 말에 덜썩 식물을 구매하신 분들도 있을 거예요. 다행히도 공기정화식물 대부분은 관리도 쉽기 때문에 오래두고 볼 수 있는 식물이기도 하죠. 손을 크게 타지 않는데? 공기도 깨끗하게 해준다고? 이렇게 든든하고 믿음직한 식물이 또 있을까 싶습니다.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식물을 키우는 이유로 ‘공기정화를 위해서’ 선택한 답변이 58.3%로 가장 높고, 식물 4~5개는 4시간 안에 초미세먼지 농도를 20% 가량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 궁금해졌어요! 공기정화식물은 어떻게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줄까. 흡수한 미세먼지는 어떻게 배출되고 있을까.
PPP 매거진 작성자가 간단하고 또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식물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원리는 크게 3가지입니다.
흡수하고, 분해하고, 떨어트린다! 3가지만 기억해 주세요!
식물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원리는 크게 3가지입니다. 광합성 작용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과,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분해해서 없애는 방법, 그리고 식물에서 발생한 음이온을 통해 미세먼지를 땅으로 떨어뜨리는 방법입니다.
광합성 작용은 너무 오랜만에 들어보신 분도 많으실 것 같아요. 우리 대부분이 잘 알고 있듯이,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해 실내 환경을 정화해 줍니다.
그럼, 미세먼지는 어떻게 흡수하고 분해하는 걸까요? 식물에는 뿌리, 줄기, 잎이 있습니다. 이중 잎과 뿌리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관여하죠. 잎에 흡수된 오염물질은 광합성의 대사산물로 이용되고, 화분 토양 내로 흡수된 오염물질은 뿌리에 있는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됩니다. 정말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게, 바로 식물입니다.
인간은 산소와 동시에 산소 분자에 있는 음이온을 흡입하면서 살아간다고 하죠. 식물의 순기능 중 하나는 음이온을 만들어 낸다는 점입니다. 그중 스파티필름, 심비디움, 광나무는 음이온을 많이 만드는 식물로 꼽히죠. 음이온을 통해 어떻게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걸까요? 미세먼지 같은 오염물질은 양이온으로 대전 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데, 이때 음이온이 공급되면 전자를 얻고 안정화 되어 땅으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지피(땅 위를 덮는 잡초)로 40% 공기정화 효과 올리기
셀라지넬라를 이용해 보세요!
식물 뿌리 부분에서 오염물질을 더 많이 분해할 방법으로 한 가지 팁이 있습니다. 식물을 활용해 화분 땅 위를 덮어주면, 뿌리 부분에 공기가 원활히 접촉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셀라지넬라로 덮어줄 경우에는 약 40% 정도 공기정화 효과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빠질 수 없는 정보, 공기정화식물 추천
중형화분과 대형화분 중심으로
•
중형화분편
•
대형화분편
식물은 관상용으로 즐기는 것도 충분하지만, 내부에서 일어나는 매커니즘을 알게 되면 정적인 오브제가 아닌 동적인 생명체로 보이곤 합니다. ‘바쁜데 물을 줘야 하나’ 했던 생각도 ‘새 잎을 내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지’라는 생각으로 바뀌죠. 알고 보면 더 많이 보이는 식물!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는 말은 식물에도 해당하지 않을까요? 
editor. Seul @전략기획팀
식물로 세상을 바꾸는 브랜드 마초의사춘기에서 발행하는 PPP 매거진입니다.
식물을 사랑하는 여러분께 자연과 식물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소개합니다.
인간과 자연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공간과 컨텐츠를 만듭니다.